수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원의 성질(2) ※본 글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새창으로 열기 - [목차] 원의 성질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이전 포스팅에서는 원과 원주각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여기에서는 좌표평면에서 원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과거부터 무언가를 정의하고 표현하는데 힘쓴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도형 또한 마찬가지로 사람들의 언어와 수학적 용어들을 통해 표현되어 왔다. 처음에는 도형을 그리고 각 도형들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른 여러 성질들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각 도형간의 관계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있었고, 이후 한 철학자가 도형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 더보기 원의 성질(1) ※본 글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보일 경우 데스크탑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새창으로 열기 - [목차] 원의 성질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들어가며...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수학을 배우는 학생들은 이전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을 때 상당히 많은 개념 및 내용을 제외하고 배운다. 추가되는 부분 또한 물론 있지만 이보단 제외되거나 학습 과정의 순서가 바뀌어 많은 수학적 개념이 빈약해질 수 밖에 없다(이는 필자의 개인적 생각입니다.). 고등학교에서 이수가능한 수학 중 미적분을 예로 들어보자. 미적분을 공부하다보면 어떤 도형에 대한 정보를 그림과 함께 주고, 이를 이용해서 푸는 문제가 많다. 그 중에서도 삼각함수의.. 더보기 [공식] 수능에서 도움되는 공식 ※본 글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수능에서 도움되는 공식은 대체로 내신에서도 도움되므로 밑의 공식들은 가능하면 알아두었으면 한다. 관련 내용은 추후 포스팅할 예정이다. 교과 내 원과 비례 $$\angle{CDP} = \angle{DEP}$$ $$\overline{PA} \times \overline{PB} = \overline{PC} \times \overline{PE}$$ $$\overline{PC} = \overline{PA} = \overline{PB}일때,$$ $$\overline{PD}^{2} = \overline{PC} \times \overline{P.. 더보기 [서론]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현재 한국의 많은 고등학생은 치열한 입시 경쟁(수시든 정시든)을 통해 대학에 입학한다. 그렇기에 이들이 '수학 공부'를 한다는 것은 필자가 전하고 싶은 '수학 공부'와는 차이가 있다. 필자는 중학생 시절 수학에 대한 흥미를 얻을 수 있었기에, 재미를 얻을 수 있었기에 이후에도 계속 수학을 공부해올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특히 일반계고, 자사고)의 '수학 공부'는 대입을 위해 '각 유형별로 주어진 문제를 풀어내는 능력의 상향을 기대하는 것'이 주를 이룬다. '어찌 되었든 일단 대학은 가야한다'는 사회분위기 때문에 더 그런 것 같다. 그렇다면 이들에게 수학에 대한 흥미를 전달하려면 어떻게 내용을 구성해야할까? 아마도 상당히 고민해야할 것이고, 이 글을 쓰는 지금도 역시 고민 중이다. 글의 구성에 관한 기본.. 더보기 [서론] 수학을 왜 배우는가 거의 모든 학교에서 학생들은 수학을 배운다. 자의적이든 타의적이든 독자도 수학을 공부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필자는 수학을 배우다가 가끔 이런 질문이 생겼다. "수학은 대체 왜 배우는 거지? 무슨 쓸모가 있어 보이진 않는데? 자연을 설명하는데 언어로 설명하면 충분하지 않나?" 이러한 질문을 해 본 경험이 있는 사람(수학이든 다른 학문이든) 또한 적지 않을 것이다. 필자는 사람들에게 어떠한 학문을 왜 배우냐고 물었을 때 "어디 어디에 쓸 수 있으니까.", "살아가면서(또는 일하면서) 사용하니까."라는 대답을 가장 많이 들었던 것 같다. 이후 '수학을 왜 배우는가'에 대해 질문하면 대부분 "대입에 필요하니까.", "누군가 시켜서.", "시험을 치니 억지로.."라고 답을 해왔다. 대다수의 선생님들(심지어 수.. 더보기 이전 1 ··· 21 22 23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