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이 글에서는 상수 e를 다룰 것이다. 상수 e는 자연상수, 오일러상수라고도 불리며, 초월수인 무리수이다. 주로 e로 표기한다. 또한 상수 e를 일컫는 표현은 모두 정식용어는 아니다. 여기서는 자연상수 e로 부를 것이다. 자연상수 e의 계산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존 네이피어가 근사값으로 계산한 것이며, 최초의 정의는 야코프 베르누이가 특정한 상수로 됨을 발견하면서이다. 이후 라이프니츠가 상수 b로 처음 표기하고, 오일러가 현재 우리가 주로 사용하는 표기인 e를 처음 사용한다. 1 2
자연상수 e의 정의
자연상수 e가 정의된 배경은 야코프 베르누이가 복리 이자의 계산이 극한을 취하면 특정한 값에 가까워지고, 이는 어떤 특정한 상수로 수렴함을 알게 되면서이다. 자연상수 e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 야코프 베르누이의 방법
$$ \lim_{n \to \infty}{ \left( 1+{ {1} \over {n} } \right)^{n} }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며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도 이 방법으로 자연상수 e를 정의한다. 이 정의는 다음의 식으로 바꿔 쓸 수 있다.
$$ \lim_{x \to 0}{ \left( 1+x \right) }^{ { {1} \over {x} } } $$
여기서 (1+0)^(무한대) 꼴이므로 이 극한은 1로 수렴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다. 가끔 이것때문에 문제를 틀리는 경우가 있으므로 실수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 넓이를 이용한 방법
$$ \text{좌표평면 상의 곡선 } y = { {1} \over {x} } \text{과 세 직선 } x \text{축, } x = 1 \text{,} $$
$$ x = t \text{로 이루어진 부분의 넓이가 } 1 \text{일때, } t \text{의 값} $$
이 방법을 이용하면 정적분, 로그함수, 극한에 대한 정보없이 자연상수 e를 정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무한급수를 이용한 방법
$$ \sum_{n=1}^{\infty}{ { {1} \over {n!} } } $$
이 방법은 테일러 급수를 이용하여 정의하는 방법이다. 고등학교 교과 과정에서는 배우지 않는다.
자연상수 e는 과학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수이다. 자연과학에 나오는 많은 변화량들이 있는데 이들간 관계를 식으로 적을 때 자연상수 e가 빈번하게 사용된다. 이외에도 미분, 적분을 할 때 자연상수 e를 밑으로 가지는 지수함수는 특별하게 취급된다.
자연로그
밑을 e로 가지는 로그를 자연로그라고 한다. 이 자연로그는 본래 log라고 표기하였으나 이후에 상용로그와 혼동된다고 하여 ln으로 표기한다. 자연로그는 다음의 성질을 가진다.
$$ \ln{ e } = 1 $$
$$ \ln{ x } +\ln{ y } = \ln{ x+y } $$
$$ \ln{x}-\ln{y} = \ln{ { {x} \over {y} } } $$
$$ \vdots $$
다음 글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극한을 주제로 할 것이다.
해결된 문제란 존재하지 않는다. 해결된 것처럼 보이는 문제가 있을 뿐이다.
-푸앵카레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과 적분(25) (0) | 2020.12.01 |
---|---|
미분과 적분(24) (0) | 2020.11.30 |
미분과 적분(22) (0) | 2020.11.28 |
미분과 적분(21) (0) | 2020.11.27 |
미분과 적분(20) (0) | 2020.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