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문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이전 글에서 복소수의 허수부분과 실수부분을 알아보았다. 본문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수의 동치관계를 설명하고, 켜레복소수라는 새로운 개념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복소수가 서로 같을 조건
두 복소수 \( z_{1} \), \( z_{2} \)에 대하여 \( z_{1} = a_{1}+b_{1} i \), \( z_{2} = a_{2} +b_{2} i \)라고 하면 조건 \( a_{1} = a_{2} \)이고 \( b_{1} = b_{2} \)는 \( z_{1} = z_{2} \)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다시 말해 \( a_{1} = a_{2} \)이고 \( b_{1} = b_{2} \)이면 \( z_{1} = z_{2} \)이고, \( z_{1} = z_{2} \)이면 \( a_{1} = a_{2} \)이고, \( b_{1} = b_{2} \)이다. 특히 \( a+bi = 0 \)이면 \( a = 0 \), \( b = 0 \)이다. 1
켤레복소수
켤레복소수란 복소수 \( z = a+bi \)에 대하여 허수부분을 바꾼 복소수 \( a-bi \)를 말하며, 이것을 기호로 \( \overline{z} \) 또는 \( \overline{a+bi} \)로 나타낸다. 다시 말해 어떤 복소수의 켤레복소수는 그 복소수와 허수부분의 부호만이 반대인 복소수를 의미한다.
\( \overline{a+bi} = a-bi \)
수학에서는 진정한 논란이란 없다.
-가우스
- 복소수 상등을 말한다. [본문으로]
반응형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합과 명제(8) (0) | 2021.05.11 |
---|---|
집합과 명제(7) (0) | 2021.05.10 |
대수(3) (0) | 2021.05.08 |
확률과 통계(17) (0) | 2021.05.07 |
확률과 통계(16) (0) | 2021.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