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앞선 글에서 다룬 함수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경우의 수를 구하는 유형 중 이러한 함수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과 비슷한 유형이 하나 더 있다. 바로 음이 아닌 정수해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이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경우의 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음이 아닌 정수해의 개수
음이 아닌 정수해란 방정식의 수많은 해 중 0 이상의 정수, 즉 0과 자연수만으로 이루어지는 해를 말한다. 음이 아닌 정수해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은 상당히 다양한데, 그 유형에 따라 여러 방법을 섞어 쓰면 풀이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기서는 그중 주로 사용하는 세 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이 방법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 a \), \( b \), \( c \)에 대한 방정식 \( a+b+c = 7 \)을 예로 들 것이다. 먼저 음이 아닌 정수 \( a \), \( b \), \( c \)에 대하여 방정식의 해를 구해보자.
1. 노가다를 통한 경우의 수 구하기
이전에도 언급했지만 방법이 기억나지 않을 때, 가장 좋은 방법은 노가다로 구하는 것이다. 노가다로 구하는 방법은 별 거 없다. 그냥 모든 경우를 다 적으면 된다. 아래는 노가다로 구한 경우의 수이다.
(0, 0, 7) | (1, 0, 6) | (2, 0, 5) | (3, 0, 4) | (4, 0, 3) | (5, 0, 2) | (6, 0, 1) | (7, 0, 0) |
(0, 1, 6) | (1, 1, 5) | (2, 1, 4) | (3, 1, 3) | (4, 1, 2) | (5, 1, 1) | (6, 1, 0) | |
(0, 2, 5) | (1, 2, 4) | (2, 2, 3) | (3, 2, 2) | (4, 2, 1) | (5, 2, 0) | ||
(0, 3, 4) | (1, 3, 3) | (2, 3, 2) | (3, 3, 1) | (4, 3, 0) | |||
(0, 4, 3) | (1, 4, 2) | (2, 4, 1) | (3, 4, 0) | ||||
(0, 5, 2) | (1, 5, 1) | (2, 5, 0) | |||||
(0, 6, 1) | (1, 6, 0) | ||||||
(0, 7, 0) |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36이다.
2. 조합을 이용한 경우의 수 구하기
방정식 \( a+b+c = 7 \)의 음이 아닌 정수해의 개수를 구할 때, 중복조합을 이용하여 그 경우의 수를 구할 수 있다. 그림과 같이 7을 단위 1로 전부 쪼개고, 쪼개어 나온 7개의 1과 세 정수 \( a \), \( b \), \( c \) 간의 대응 관계를 만들어준다. 이 대응관계로 정해지는 1에 대응하는 문자열의 개수가 곧 구하는 해의 개수가 된다. 여기서 7개의 1은 모두 동일한 개체이므로 대응관계를 이용해 만들어진 문자열은 순서를 생각하지 않고, 오직 각 문자의 개수만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이는 서로 다른 3개의 문자가 중복을 허용하여 7개의 1을 고르는 경우의 수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_{3}\mathrm{H}_{7} = {}_{9}\mathrm{C}_{7} = 36 \)이 된다.
3. 식을 이용해 구하는 방법
이 방법은 위의 두 방법을 이용하지만 그 시작이 다르다. 세 자연수 \( a \), \( b \), \( c \) 중 둘은 짝수이고, 하나는 홀수인 경우, 방정식 \( a+b+c = 7 \)의 해의 개수를 구해보자. 먼저 두 자연수 \( a \), \( b \)를 짝수로, 자연수 \( c \)를 홀수로 잡아주면, 음이 아닌 세 정수 \( a^{\prime} \), \( b^{\prime} \), \( c^{\prime} \)에 대하여 \( a = 2a^{\prime}+2 \), \( b = 2b^{\prime}+2 \), \( c = 2c^{\prime}+1 \)으로 둘 수 있다. 이 세 등식을 방정식 \( a+b+c = 7 \)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 a^{\prime}+b^{\prime}+c^{\prime} = 1 \)이 된다. 음이 아닌 세 정수 \( a^{\prime} \), \( b^{\prime} \), \( c^{\prime} \)에 대하여 방정식 \( a^{\prime}+b^{\prime}+c^{\prime} = 1 \)의 해의 개수는 ( 2. )에 의하여 \( {}_{3}\mathrm{H}_{1} = {}_{3}\mathrm{C}_{1} = 3 \)이다. 이때, 세 자연수 \( a \), \( b \), \( c \) 중 둘은 짝수, 하나는 홀수로 결정해주는 경우의 수는 \( {}_{3}\mathrm{C}_{1} = 3 \)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3 \times 3 = 9 \)가 된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는 음이 아닌 정수를 이용하여 각 미지수를 표현한 후, 위의 두 방법을 적절히 섞어 해의 개수를 구한다.
모든 자연현상은 그저 작은 수의 불변하는 법칙에서 나온 수학적인 결과일 뿐이다.
-라플라스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수(3) (0) | 2021.05.08 |
---|---|
확률과 통계(17) (0) | 2021.05.07 |
집합과 명제(6) (0) | 2021.05.05 |
집합과 명제(5) (0) | 2021.05.04 |
집합과 명제(4)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