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문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많은 개념이 그렇듯이 집합 또한 그 성질에 따라 구분하여 줄 수 있다. 본문에서는 집합의 원소의 개수에 따라 구분한 집합의 분류에 대해 다룰 것이다.
유한집합
유한집합은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유한한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집합
무한집합
무한집합이란 유한집합과 달리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유한하지 않은, 즉 무한한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연수 집합
공집합
공집합이란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0인 집합을 의미한다. 원소의 개수가 0이란 말은 곧 집합 내에 어떠한 원소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 된다. 우리는 공집합을 표현할 때
마음의 길을 잃은 사람은 마땅히 수학을 공부해야 한다.
-프랜시스 베이컨
반응형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률과 통계(17) (0) | 2021.05.07 |
---|---|
확률과 통계(16) (0) | 2021.05.06 |
집합과 명제(5) (0) | 2021.05.04 |
집합과 명제(4) (0) | 2021.05.03 |
대수(2) (0) | 2021.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