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초등학교에서는 자연수로 시작하여 수를 0, 분수로 확장하였고, 이후 중학교에서 이를 확장하여 음의 정수를 포함하는 정수, 그리고 우리의 일반적인 표현법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수인 무리수와 이 모두를 포함하는 실수까지 수를 확장하였다. 고등학교에서는 더 넓은 범위의 수를 새로 정의하는데 그것이 바로 복소수이다. 본문에서는 이 복소수를 정의하기 위해 그 이전의 하위 개념인 허수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허수
먼저 복소수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서는 허수라는 개념을 알아야 한다. 허수를 정의하기 위해서 \( \sqrt{2} \)를 어떻게 정의하였는지 생각해보자. \( \sqrt{2} \)는 방정식 \( x^{2} = 2 \)의 양의 해이다. 즉, 제곱해서 2가 되는 수 중 양의 값을 의미한다. 이런 식으로 수를 정의하면 제곱해서 0 이상이 되는 수 모두를 정의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생각을 해보자. 우리가 이와 같이 수를 정의하면 모든 실수에 대해서 수를 정의하긴 했지만, 제곱해서 0 미만이 되는 수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알고 있는 수, 즉 실수 범위에서는 이러한 수를 찾을 수 없다. 왜? 실수는 제곱하면 양수가 되므로. 그렇기에 우리는 새로운 수를 정의하고자 한다. 제곱하여 음수가 되는 수를 허수라고 한다.
허수 단위 \( i \)
모든 수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단위라는 것이 있어야 한다. 모든 수를 표현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자연수에서 1이 단위가 되듯이 허수에서도 새로운 단위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허수에서는 단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방정식 \( x^{2} = -1 \)의 한 해를 \( i \)라고 할 때,
이 \( i \)를 허수 단위 \( i \)라고 한다.
즉, 허수 단위 \( i \)는 제곱해서 -1이 되는 수를 의미한다.
앞서 허수의 정의를 제곱하여 음수가 되는 수라고 하였다. 정확하게는 일부 허수들에게만 허용되는 말이다. 허수는 허수 단위 \( i \)가 살아있는 수라고 하는 것이 좀 더 좋은 표현일 것이다.
수학은 최고의 결정권자이다. 일단 확정되면 더 이상의 항소는 없다.
-토비아스 단치히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합과 명제(5) (0) | 2021.05.04 |
---|---|
집합과 명제(4) (0) | 2021.05.03 |
대수(1) (0) | 2021.05.01 |
확률과 통계(15) (0) | 2021.04.30 |
확률과 통계(14) (0) | 2021.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