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많은 개념이 그렇듯이 집합 또한 그 성질에 따라 구분하여 줄 수 있다. 본문에서는 집합의 원소의 개수에 따라 구분한 집합의 분류에 대해 다룰 것이다.
유한집합
유한집합은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유한한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집합 \( \left\{ m \text{, } i \text{, } c \text{, } r \text{, } o \right\} \)이나, 집합 \( \left\{ kg \text{, } m \text{, } s \text{, } A \text{, } K \text{, } mol \text{, } cd \right\} \), 집합 \( \left\{ normal \text{, } iso \text{, } cyclo \right\} \)는 원소의 개수가 각각 5, 7, 3개로 셀 수 있다. 즉, 원소의 개수가 유한하므로 이 세 집합은 유한집합이다.
무한집합
무한집합이란 유한집합과 달리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유한하지 않은, 즉 무한한 집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연수 집합 \( N \)이나 실수 집합 \( R \)은 원소의 개수가 무한하기에 무한집합으로 분류된다.
공집합
공집합이란 집합의 원소의 개수가 0인 집합을 의미한다. 원소의 개수가 0이란 말은 곧 집합 내에 어떠한 원소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 된다. 우리는 공집합을 표현할 때 \( \left\{ \text{ } \right\} \)처럼 집합 내의 원소가 없음을 보이거나 기호 \( \phi \)를 이용한다.
마음의 길을 잃은 사람은 마땅히 수학을 공부해야 한다.
-프랜시스 베이컨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률과 통계(17) (0) | 2021.05.07 |
---|---|
확률과 통계(16) (0) | 2021.05.06 |
집합과 명제(5) (0) | 2021.05.04 |
집합과 명제(4) (0) | 2021.05.03 |
대수(2) (0) | 2021.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