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글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이전 글에서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포물선의 일부가 된다고 하였다. 그래프의 모양이 포물선이 되는 함수는 무리함수 말고도 더 있다. 바로 이차함수다. 그래프의 모양이 같으면 뭔가 관계가 있을 거라고 예측이 된다. 본문에서는 무리함수와 이차함수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1
무리함수와 이차함수의 관계
무리함수와 이차함수는 모두 그래프의 형태가 포물선이거나 포물선의 일부이다. 이는 이차함수의 정의역을 적당히 잡아주고, 그래프를 적당히 회전시켜주면 무리함수의 그래프가 나온다. 즉, 두 함수 사이에는 어떠한 관계를 만들어 줄 수 있다는 뜻이 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두 함수는 역함수 관계에 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이차함수의 역함수가 무리함수이며, 무리함수의 역함수가 이차함수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보자. 무리함수 \( y = \sqrt{x} \)의 x값을 y로 놓고, 그에 대응하는 y값을 x에 두면 이차함수 \( y = x^{2} \)이 되며, 그래프를 그려보면 두 함수의 그래프가 직선 \( y = x \)에 대하여 대칭이 된다. 이처럼 역함수 관계에 있는 두 함수의 그래프는 직선 \( y=x \)에 대하여 대칭이다.
수학적 진리의 거대한 성은 의심 많은 회의론자들의 공격에도 끄떡없고 흔들리지 않는다.
-버트란드 러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