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무리함수
무리함수는 무리식, 즉 다항식에 근호를 씌운 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함수를 말한다. 고등학교에서 무리함수라고 지칭하며 다루는 함수는 일차식의 근호를 씌워 만든 함수이므로 본문에서도 이 무리함수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 먼저 이 무리함수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각 상수의 값에 따라 무리함수의 그래프가 위치하는 사분면과 그 그래프의 곡선이 향하는 방향이 달라진다. 다음 그림은 무리함수의 그래프의 계형이다.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포물선을 절반으로 자른 것과 동일하다. 무리함수가
a의 부호 | |||
양수 | 음수 | ||
k의 부호 | 양수 | ![]() |
![]() |
음수 | ![]() |
![]() |
무리함수의 정의역과 치역
형이상학과 수학이야말로 상상력이 가장 중요한 구실을 하는 학문이다.
-장 르 롱 달랑베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