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유리함수


유리함수는 유리식, 즉 분모에 다항식이 있는 함수를 말한다. 그림에 있는 유리함수는 특별히 그 그래프의 계형이 쌍곡선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고등학교 1학년 '수학'에서 이를 배우므로 아마도 고등학생들에게 유리함수가 뭐냐고 물으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함수일 것이다. 본문에서도 이 유리함수에 대하여 다룰 것이다.
유리함수의 표현
유리함수는 아래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러한 유리함수의 그래프는 쌍곡선을 나타내고, 두 직선을 점근선으로 가진다. 특히
y=kx−p+q (k≠0) 의 성질
유리함수
대칭은 인류가 오랜 시간 동안, 그를 통해 질서, 미, 완벽함과 같은 것들을 이해하고 창조하기 위해 노력했던 관념 중의 하나이다.
-헤르만 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