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수학/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함수(5)

반응형

※본 글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이전에 함수라는 개념을 정의할 때 두 집합의 원소 간 대응 관계를 이용하여 정의했다. 그렇다면 세 집합 X, Y, Z에 대하여 두 함수 관계 XY, YZ를 결합하여 XYZ라는 새로운 함수를 만들고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이를 위해 합성함수라는 새로운 개념을 이용한다.

합성함수

합성함수

 합성함수는 둘 이상의 함수를 합성하여 만든 함수이다. 함수 f: XY에 대하여 함수 f의 치역 f(X)을 새로운 정의역으로 하는 함수 g: f(X)gZ를 정의할 때, 두 함수 f, g를 이용해 만든 대응 관계 h: Xff(X)gZ합성함수 h=gf라고 한다. 여기서 기호는 함수를 합성하는 연산자로 쓰이며, 흔히 dot라고 읽는다. 독립변수 x를 이용하여 나타내면 h(x)=(gf)(x)로 나타낼 수 있다.

합성함수의 표현

 합성함수 h=fg는 주로 아래와 같이 표현한다.

h=fg, h(x)=(fg)(x), h(x)=f(g(x))

 

 

 

수학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무의미한 기호를 나열하는 게임이다.

-힐베르트


반응형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수(7)  (0) 2021.03.29
함수(6)  (0) 2021.03.28
함수(4)  (0) 2021.03.26
함수(3)  (0) 2021.03.25
함수(2)  (0) 2021.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