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확률과 통계(6)

반응형

※본 글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본문에서 다룰 순열은 앞서 다루었던 순열들과 약간 다른 순열이다. 학생들이 이 순열을 부르는 이름은 상당히 다양하다. 본문에서는 완전순열이라는 이름을 사용할 것이다. 자, 지금부터 이 순열에 대해 알아보자.

완전순열

 완전순열이란 모든 원소의 위치를 바꾸는 순열, 다시 말해 각 원소가 본래 있던 자리가 아닌 자리로 옮겨주는 순열이라는 뜻이다. 이 순열의 수를 구하려고 하면 정말 귀찮다. 필자는 이 순열의 수를 구할 때, 주로 단순한 노가다로 구하는 편이다. 모든 경우를 적어서. 시간도 오래 걸리고 귀찮은 작업이지만 꽤나 높은 정확도로 구할 수 있다. 필자는 이 방법으로 구하지만 본문에서는 원소가 2, 3, 4, 5개인 경우의 완전순열의 수를 각각 구해볼 것이다. 각 경우별로 노가다를 통해 구하는 방법은 접은 글에서 확인하기 바란다.

원소가 2개인 경우

 원소가 2개인 경우에는 둘의 자리를 바꾸는 경우 뿐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이다.

 의자 a, b에 각각 세 사람 A, B가 앉아 있고, 이를 순서쌍 (A, B)로 나타낸다고 하자.

(A, B) (B, A)

원소가 3개인 경우

 먼저 A가 의자 a에 앉지 않으면서 세 사람 A, B, C가 앉을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해주면

$$ {}_{2}\mathrm{C}_{1} \times 2! = 4 $$

이 중 B가 b에 앉거나 C가 c에 앉는 경우의 수는 2이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2=2이다. 이 경우의 수를 다른 방법으로도 구할 수 있다. 필자 개인적으로는 이 방법이 훨씬 간편하고 빠르다고 생각한다.

 위 그림을 보며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이 경우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f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 f \text{: } X \to X $$
$$ X = \left\{ 1 \text{, } 2 \text{, } 3 \right\} $$
$$ f(x_{1}) = f(x_{2}) \to x_{1} = x_{2} $$
$$ \text{모든 } a \in A \text{에 대하여 } f(a) \ne a $$

 먼저 다음과 같은 순환을 생각해보자.

1→2→3→1

 이와 같이 순환시켜주면 함수 f는 항상 모든 a∈A에 대하여 f(a)≠a를 만족한다. 자, 지금 이 설명이 뭔 소린지 알아듣지 못하는 독자들이 있을 수 있다. 필요한 설명을 상당히 생략했기에 당연한 결과다. 여기서 알아들었으면 당신의 사고력은 정말 뛰어난 것이다. 이제 제대로 설명해 보겠다. 이 순환에서 화살표함수에서 말하는 정의역의 원소와 치역의 원소의 대응을 의미한다. 즉, 1은 2로, 2는 3으로, 3은 다시 1로 대응된다는 뜻이다. 이렇게 각 원소를 하나씩만 사용해서 순환을 유지해주면 결국 이 함수 f의 정의역의 부분집합 중 어떤 집합을 정의역으로 택하여 함수를 만들어도 절대로 항등함수는 나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순환의 개수가 곧 조건을 따르면서 우리가 만들 수 있는 함수의 개수라고 볼 수 있다. 자, 이 정도면 설명이 충분할 듯 싶다. 이 순환의 개수원순열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구하는 경우의 수는

$$ \frac{3!}{3} = 2! = 2 $$

 이후에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할 것이다.

더보기

 이 경우의 수를 노가다를 통해 구하는 과정을 다음의 표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의자 a, b, c에 각각 세 사람 A, B, C가 앉아 있고, 이를 순서쌍 (A, B, C)로 나타낸다고 하자.

(A, B, C) (B, A, C) (C, A, B)
(A, C, B) (B, C, A) (C, B, A)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2이다.

 접은 글을 보면 알겠지만 이 경우에는 노가다로 구하는 것도 꽤나 빠르다. 다만 아래에도 나오겠지만 원소의 숫자가 커질수록 노가다로 구하는 속도는 압도적으로 작아져 매우 비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원소가 4개인 경우

좌측이 (case 1)이고, 우측이 (case 2)이다.

 위 그림을 보며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이 경우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f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 f \text{: } X \to X $$
$$ X = \left\{ 1 \text{, } 2 \text{, } 3\text{, } 4 \right\} $$
$$ f(x_{1}) = f(x_{2}) \to x_{1} = x_{2} $$
$$ \text{모든 } a \in A \text{에 대하여 } f(a) \ne a $$

  case 1)

 이는 다음과 같은 순환으로 나타낼 수 있다.

1→2→1, 3→4→3

 먼저 두 묶음을 분할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면

$$ {}_{4}\mathrm{C}_{2} \times {}_{2}\mathrm{C}_{2} \times \frac{ 1 }{ 2! } = 3 $$

두 묶음 모두 경우의 수가 1이므로 (case 1)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3이다.

  case 2)

 이는 다음과 같은 순환으로 나타낼 수 있다.

1→2→3→4→1

 이 순환의 수는

$$ \frac{4!}{4} = 3! = 6 $$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case 1), (case 2)에 의하여 3+6=9이다.

더보기

 먼저 의자 a, b, c, d에 각각 세 사람 A, B, C, D가 앉아 있고, 이를 순서쌍 (A, B, C, D)로 나타낸다고 하자. 이 경우의 수를 노가다를 통해 구하는 과정을 다음의 표로 정리할 수 있다.

(A, B, C, D) (B, A, C, D) (C, A, B, D) (D, A, B, C)
(A, B, D, C) (B, A, D, C) (C, A, D, B) (D, A, C, B)
(A, C, B, D) (B, C, A, D) (C, B, A, D) (D, B, A, C)
(A, C, D, B) (B, C, D, A) (C, B, D, A) (D, B, C, A)
(A, D, B, C) (B, D, A, C) (C, D, A, B) (D, C, A, B)
(A, D, C, B) (B, D, C, A) (C, D, B, A) (D, C, B, A)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9이다.

원소가 5개인 경우

좌측이 (case 1)이고, 우측이 (case 2)이다.

 위 그림을 보며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이 경우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f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 f \text{: } X \to X $$
$$ X = \left\{ 1 \text{, } 2 \text{, } 3\text{, } 4 \text{, } 5 \right\} $$
$$ f(x_{1}) = f(x_{2}) \to x_{1} = x_{2} $$
$$ \text{모든 } a \in A \text{에 대하여 } f(a) \ne a $$

$$ \frac{3!}{3} = 2 $$

  case 1)

 이는 다음과 같은 두 순환으로 나타낼 수 있다.

1→2→3→1, 4→5→4

 위 그림과 같이 두 그룹으로 분할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면

$$ {}_{5}\mathrm{C}_{3} \times {}_{2}\mathrm{C}_{2} = 10 $$

 3개가 묶여있는 그룹을 돌리는 경우의 수를 구하면

$$ \frac{3!}{3} = 2! = 2 $$

 따라서 (case 1)에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10×2=20이다.

  case 2)

 이는 다음과 같은 순환으로 나타낼 수 있다.

1→2→3→4→5→1

 이 순환의 수는

$$ \frac{5!}{5} = 4! = 24 $$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case 1), (case 2)에 의하여 20+24=44이다.

더보기

 먼저 의자 a, b, c, d, e에 각각 세 사람 A, B, C, D, E가 앉아 있고, 이를 순서쌍 (A, B, C, D, E)로 나타낸다고 하자. 이 경우의 수를 노가다를 통해 구하는 과정을 다음의 표로 정리할 수 있다.

(A, B, C, D, E) (A, C, B, D, E) (A, D, B, C, E) (A, E, B, C, D)
(A, B, C, E, D) (A, C, B, E, D) (A, D, B, E, C) (A, E, B, D, C)
(A, B, D, C, E) (A, C, D, B, E) (A, D, C, B, E) (A, E, C, B, D)
(A, B, D, E, C) (A, C, D, E, B) (A, D, C, E, B) (A, E, C, D, B)
(A, B, E, C, D) (A, C, E, B, D) (A, D, E, B, C) (A, E, D, B, C)
(A, B, E, D, C) (A, C, E, D, B) (A, D, E, C, B) (A, E, D, C, B)
(B, A, C, D, E) (B, C, A, D, E) (B, D, A, C, E) (B, E, A, C, D)
(B, A, C, E, D) (B, C, A, E, D) (B, D, A, E, C) (B, E, A, D, C)
(B, A, D, C, E) (B, C, D, A, E) (B, D, C, A, E) (B, E, C, A, D)
(B, A, D, E, C) (B, C, D, E, A) (B, D, C, E, A) (B, E, C, D, A)
(B, A, E, C, D) (B, C, E, A, D) (B, D, E, A, C) (B, E, D, A, C)
(B, A, E, D, C) (B, C, E, D, A) (B, D, E, C, A) (B, E, D, C, A)
(C, A, B, D, E) (C, B, A, D, E) (C, D, A, B, E) (C, E, A, B, D)
(C, A, B, E, D) (C, B, A, E, D) (C, D, A, E, B) (C, E, A, D, B)
(C, A, D, B, E) (C, B, D, A, E) (C, D, B, A, E) (C, E, B, A, D)
(C, A, D, E, B) (C, B, D, E, A) (C, D, B, E, A) (C, E, B, D, A)
(C, A, E, B, D) (C, B, E, A, D) (C, D, E, A, B) (C, E, D, A, B)
(C, A, E, D, B) (C, B, E, D, A) (C, D, E, B, A) (C, E, D, B, A)
(D, A, B, C, E) (D, B, A, C, E) (D, C, A, B, E) (D, E, A, B, C)
(D, A, B, E, C) (D, B, A, E, C) (D, C, A, E, B) (D, E, A, C, B)
(D, A, C, B, E) (D, B, C, A, E) (D, C, B, A, E) (D, E, B, A, C)
(D, A, C, E, B) (D, B, C, E, A) (D, C, B, E, A) (D, E, B, C, A)
(D, A, E, B, C) (D, B, E, A, C) (D, C, E, A, B) (D, E, C, A, B)
(D, A, E, C, B) (D, B, E, C, A) (D, C, E, B, A) (D, E, C, B, A)
(E, A, B, C, D) (E, B, A, C, D) (E, C, A, B, D) (E, D, A, B, C)
(E, A, B, D, C) (E, B, A, D, C) (E, C, A, D, B) (E, D, A, C, B)
(E, A, C, B, D) (E, B, C, A, D) (E, C, B, A, D) (E, D, B, A, C)
(E, A, C, D, B) (E, B, C, D, A) (E, C, B, D, A) (E, D, B, C, A)
(E, A, D, B, C) (E, B, D, A, C) (E, C, D, A, B) (E, D, C, A, B)
(E, A, D, C, B) (E, B, D, C, A) (E, C, D, B, A) (E, D, C, B, A)

따라서 구하는 경우의 수는 44이다.

 글을 읽으며 잘 따라오다 보면 알겠지만 원소의 개수가 커질수록 이 순열의 수를 구하기 위해서 나눠야하는 경우는 점차 커지므로, 이 순열의 수를 구하는 것은 매우 귀찮다. 그래서 완전순열의 몇몇 경우에 대하여 경우의 수 값을 외우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각주:1] 이는 순전히 개인의 학습방법에 달린 부분이므로 독자들의 선택에 맡긴다.

 

 

 

나는 문제를 해결할 때

절대 아름다움에 대해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내가 일을 마쳤을 때

그 해결책이 아름답지 않으면

그것이 잘못된 것임을 안다.

-리차드 벅민스터 풀러


  1. 필자는 외우지 않았다. [본문으로]
반응형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률과 통계(7)  (0) 2021.03.07
삼각함수(5)  (0) 2021.03.06
확률과 통계(5)  (0) 2021.03.04
확률과 통계(4)  (0) 2021.03.03
기하와 벡터(26)  (0) 2021.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