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썸네일형 리스트형 생명과학 II(3) 생명과학사 ③ - 유전 및 분자생물학을 중심으로 유전의 기본 원리 발견 - 1865. 멘델은 완두의 교배 실험을 통해 부모의 형질이 유전 인자의 형태로 자손에게 전달된다는 결론을 얻는다. 멘델의 실험 결과가 너무 깔끔하여 당시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멘델이 실험 결과를 조작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돌았고, 이로 인해 멘델의 유전 법칙은 빛을 보지 못하였다. 이후 1900년 무렵 과학자들에 의해 멘델의 연구가 발견되어 다시 재조명되었으며, 멘델의 유전 법칙으로 불리게 된다. 현재는 우열의 법칙의 예외가 많이 발견되어 이를 우열의 원리로 부른다. 멘델의 유전의 기본 원리 우열의 원리 분리의 법칙 독립의 법칙 유전자설 발표 - 1926. 모건에 의해 각각의 유전자는 염색체의 일정한 위치에 존재함이 밝혀졌다. 이를.. 더보기 생명과학 II(2) 생명과학사 ② - 미생물 및 감염병을 중심으로 미생물의 발견 - 1673. 안톤 판 레이우엔훅은 자신이 만든 현미경으로 맥주, 침, 호숫물, 빗물 등을 관찰하였다. 그 관찰을 통해 효모, 단세포 조류, 원생동물, 세균 등의 미생물을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발견 초기, 학자들은 레이우엔훅이 발견한 미생물의 발견을 의심하며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취했다. 이후 영국 왕립학회의 로버트 훅이 연구를 통해 레이우엔훅의 발견을 검증해주어 이 발견이 학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었다. 이 공로로 레이우엔훅은 영국 왕립학회의 정식 회원 자격을 받았다. 종두법 개발 - 1796. 에드워드 제너는 사람에게 우두를 접종하여 천연두를 예방할 수 있는 종두법을 개발하였다. 당시 불치병 중 하나였던 천연두는 신벌, 신의 저주라고 불.. 더보기 생명과학 II(1) 생명과학사 ① - 세포 및 생리를 중심으로 혈액 순환의 원리 - 1628. 하비는 당시 주류였던 갈레노스의 이론을 반박하고 혈액 순환의 원리를 제시한다. 즉, 생물학의 과학혁명을 이루었다. 갈레노스의 이론에 따르면 혈액은 간에서 만들어져 사지로 퍼지며 소멸한다. 그러나 하비가 이 이론에 따라 계산했을 때 인간의 몸에서 약 1800L의 혈액이 만들어진다는 결과가 나왔고, 음식을 통해 이 양을 충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모순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와 함께 자신의 스승인 파브리키우스가 발견한 판막의 존재를 떠올리며 갈레노스의 이론과 달리 혈액이 몸을 순환한다는 혈액순환론을 주장한다. 그러나 당시 이러한 하비의 이론은 받아들여지지 않았으며, 파브리키우스에게조차 많은 비난을 받았다고 한다. 하비는 혈액 순환의 원.. 더보기 물리학 I(3) ※본문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새창으로 열기 - [목차] 물리학 I - 고등학생을 위한 과학 우리는 주변의 사물의 성질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물리량을 사용하며, 이러한 물리량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단위'와 '차원'을 사용한다. 본문에서는 이 단위와 차원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차원 아마 대부분의 독자들이 단위에 대해서는 자주 들어봤으리라 생각되지만 차원에 대해서는 그리 많이 들어보지 못했으리라 생각된다. 대부분의 독자들이 생각하는 차원은 아마 점을 0차원, 선을 1차원, 면을 2차원⋯으로 정의하는 수학적 차원이 일반적일 것이다. 여기서 말.. 더보기 물리학 I(2) ※본문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새창으로 열기 - [목차] 물리학 I - 고등학생을 위한 과학 우리 주변을 구성하는 성분들은 무게, 길이 등 측정할 수 있는 수많은 양으로 되어있다. 우리는 이러한 것들을 물리량이라고 한다. 본문에서는 이러한 물리량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물리량 물리량이란 어떤 현상이나 물체가 가지는 양으로 표현되는 속성이다. 물리량은 크게 벡터량과 스칼라량 두 가지로 나뉜다. 벡터량이란 흔히 말하는 벡터로 표현되는 물리량, 즉 크기와 방향을 가지는 물리량을 말하며, 스칼라량이란 흔히 말하는 스칼라로 표현되는 물리량, 즉 방향을 가지지 않으며 오직.. 더보기 물리학 I(1) 새창으로 열기 - [목차] 물리학 I - 고등학생을 위한 과학 서론 물리는 만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학문으로 자연과학의 수많은 분야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물리는 고대에서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고대에서는 철학자 등 다양한 사람들이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구성되어 있는지, 세상을 구성하는 물질이 어떠한 법칙에 의해 운용되는지에 대한 탐구가 중심이 된다. 이러한 흐름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유대인들의 구약 성경, 그리고 동양의 음양오행 사상을 보면 느껴질 것이다. 한 예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져 온 '세상의 모든 물질은 어떻게 구성되는가?'에 대해 알아보자. 고대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철학자들은 세상을 구성하는 물질이 불, 물, 흙, 공기라는 4가지.. 더보기 화학 II(4) ※본문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새창으로 열기 - [목차] 화학 II - 고등학생을 위한 과학 주사기의 구멍을 막고 힘을 가해주거나 공기가 차있는 풍선에 힘을 가해주면 주사기와 풍선이 차지하는 부피는 감소한다. 이는 외부압력을 가해주었을 때, 기체의 부피가 감소한다는 뜻과도 같다. 그렇다면 압력과 부피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 된다. 본문에서는 기체의 압력과 부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보일 법칙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보일 법칙 보일법칙은 온도가 일정할 때, 일정량의 기체의 부피(V)와 압력(P)은 반비례 관계에 있음을 말하는 법.. 더보기 화학 II(3) ※본문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새창으로 열기 - [목차] 화학 II - 고등학생을 위한 과학 이전 글에서 토리첼리의 기체 압력 측정 방법의 기본적인 원리를 알아보았다. 본문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기체의 압력 측정 토리첼리가 사용한 수은 기둥을 이용하여 기체의 압력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먼저 우리는 1atm=760mmHg임을 알고 있다. 또한 아래의 그림처럼 압력 차이로 인해 생기는 수은주의 높이 차이가 곧 기체의 압력을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을 알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수은주의 높이 차이를 이용하여 .. 더보기 이전 1 2 3 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