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학/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집합과 명제(24)

반응형

※본문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연역적 증명

 보통 증명을 얘기하면 가정으로부터 출발하여 결론을 얻어내는 연역적 증명을 말한다. 그러므로 연역적 증명은 명제에 변화를 주지 않고 가정으로부터 결론을 차근차근 유도해나간다. 예를 통해 알아보자.

예시

명제 ⓐ 임의의 정수 \( n \)에 대하여 \( n \)이 홀수인 정수이면 \( n^{2} \)은 홀수인 정수이다.
증명 정수 \( n \)이 홀수이므로 \( n = 2k+1 \)을 만족하는 정수 \( k \)가 존재한다.
등식 \( n = 2k+1 \)의 양변을 제곱하면
$$ \begin{matrix} n^{2} &=& \left( 2k+1 \right)^{2} \\ &=& 4k^{2}+4k+1 \\ &=& 2 \left( 2k^{2}+2k \right) +1 \end{matrix} $$
이므로 \( n^{2} \)은 홀수이다.
따라서 임의의 정수 \( n \)에 대하여 \( n \)이 홀수인 정수이면 \( n^{2} \)은 홀수인 정수이다.
사용된 정리 홀수의 정의: \( n = 2k+1 \)을 만족하는 정수 \( k \)가 존재하는 정수 \( n \)

 이 명제 ⓐ에 대한 증명은 매우 간단하지만 증명에 대해 설명하기에는 매우 좋은 증명이라고 생각한다. 먼저 명제 ⓐ를 분석해보자. 명제 ⓐ의 가정은 <\( n \)이 홀수인 정수이다.>이고, 결론은 <\( n^{2} \)은 홀수인 정수이다.>이다. 이 명제를 서술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는 <홀수>와 <정수>가 있으며, 두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이미 알고 있는 정보로 취급한다. 즉, 조건으로 이루어진 명제를 서술하기 위해서는 우선 가정과 결론이 명확해야 하며, 각 조건을 서술하기 위한 용어의 정의를 알고 있어야 한다. 만약 각 조건을 서술하기 위한 용어를 알기 어려운 경우, 각 용어들의 정의를 밝혀주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제 본격적으로 증명을 분석해보자. 명제 ⓐ의 증명 첫 문장에서는 <홀수의 정의>를 사용해 명제 ⓐ의 가정을 명확하게 밝히며 서술한다. 또한 증명의 전개에 필요한 미지수, 문자, 수식들을 정의하여, 이후의 흐름을 끊어지지 않게 한다.

 두 번째 문장에서는 첫 문장에서 만든 등식 \( n = 2k+1 \)의 양변을 제곱하는 연산을 통해 결과적으로 얻어내야하는 \( n^{2} \)을 \( k \)에 대한 식으로 나타내고, 홀수의 정의를 사용하기 위한 형태의 식으로 정리한다. 이후 홀수의 정의를 이용하여 \( n^{2} \)이 홀수인지 아닌지 판별한다.

 두 번째 문장에서 \( n^{2} \)이 홀수임을 알아냈고, 이는 명제 ⓐ의 가정에 의하여 유도된 결론이 되므로 명제 ⓐ가 참임을 내포한다. 그러므로 마지막 문장에서 명제 ⓐ의 진리값을 밝혀준다. 물론 여기서 명제 ⓐ의 진리값은 참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이해할 수 없는 것은 이해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다.

-아인슈타인


반응형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합과 명제(26)  (0) 2021.07.06
집합과 명제(25)  (0) 2021.07.04
집합과 명제(23)  (0) 2021.06.29
집합과 명제(22)  (0) 2021.06.11
집합과 명제(21)  (0) 2021.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