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어떤 명제를 서술하다 보면 '모든 \( x \)에 대하여' 또는 '어떤 \( x \)에 대하여' 등 특별한 조건을 가정으로 가지는 명제가 있다. 본문에서 이러한 조건을 포함하여 서술되는 명제에 대하여 알아보자.
'모든'이나 '어떤'을 포함하여 서술되는 명제
전체집합 \( U \)에 대하여 조건 \( p \)의 진리집합을 \( P \)라고 할 때, 두 명제의 진리값은 아래 조건에 따라 결정된다. | |||
모든 \( x \)에 대하여 \( p \)이다. | 어떤 \( x \)에 대하여 \( p \)이다. | ||
\( P = U \) | \( P \ne U \) | \( P \ne \varnothing \) | \( P = \varnothing \) |
참 | 거짓 | 참 | 거짓 |
'모든 \( x \)에 대하여'라는 조건은 '그 조건이 정의되는 집합 내, 즉 전체집합 내의 모든 원소에 대하여'라는 조건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건 '모든 \( x \)'의 진리집합은 전체집합 \( U \)가 된다. 또한, '어떤 \( x \)에 대하여'라는 조건은 '전체집합 내에 적어도 하나의 원소에 대하여' 또는 '전체집합 내의 원소 중 (후술될 조건을 만족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가 존재한다.'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건 '어떤 \( x \)에 대하여'의 진리집합은 전체집합 \( U \)의 부분집합 중 공집합 \( \varnothing \)이 아닌 집합이 된다. 그렇다면 '모든'이나 '어떤'을 포함하여 명제를 서술하고, 그 명제의 진리값을 판별해보자.
모든 \( x \)에 대하여 \( p \)이다. |
이 명제는 전체집합 내의 모든 원소가 조건 \( p \)를 만족하면 참이다. 다시 말해 전체집합 내의 원소 중 조건 \( p \)를 만족하지 않는 원소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이 명제는 거짓이 된다. 그러므로 전체집합 \( U \)에 대하여 조건 \( p \)의 진리집합을 \( P \)라고 하면 \( P = U \)이면 이 명제는 참이며, \( P \ne U \)이면 이 명제는 거짓이다.
어떤 x에 대하여 p이다. |
이 명제는 전체집합 내의 원소 중 조건 \( p \)를 만족하는 원소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면 이 명제는 참이 된다. 다시 말해 전체집합 내의 모든 원소가 조건 \( p \)를 만족하지 않으면 이 명제는 거짓이 된다. 그러므로 전체집합 \( U \)에 대하여 조건 \( p \)의 진리집합을 \( P \)라고 하면 \( P \ne \varnothing \)이면 이 명제는 참이며, \( P = \varnothing \)이면 이 명제는 거짓이다.
'모든'이나 '어떤'을 포함하여 서술되는 명제의 부정
명제 | 명제의 부정 |
모든 \( x \)에 대하여 \( p \)이다. | 어떤 \( x \)에 대하여 \( p \)가 아니다 = 어떤 \( x \)에 대하여 \( \sim p \)이다. |
어떤 \( x \)에 대하여 \( p \)이다. | 모든 \( x \)에 대하여 \( p \)가 아니다. = 모든 \( x \)에 대하여 \( \sim p \)이다. |
'모든'이나 '어떤'을 포함하는 명제를 부정할 때는 주의할 점이 있다. 위에 서술된 내용을 잘 따라왔다면 아마 눈치챘을 수도 있다. 이러한 명제 또한 조건명제로 볼 수 있는데, 각 조건을 '모든 \( x \)', '어떤 \( x \)', '\( p \)'로 나눌 수 있다. 조건 명제를 부정할 때는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해야 하므로 가정에 들어가는 '모든 \( x \)'와 '어떤 \( x \)'를 부정하고, 결론에 들어가는 '\( p \)'를 부정해야 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모든'의 부정은 '어떤'이고, '어떤'의 부정은 '모든'이다.
예를 통해 알아보자. 전체집합 \( U = \left\{ 1 \text{, } 2 \text{, } 3 \text{, } 4 \text{, } 5 \right\} \)라고 하자. 전체집합 \( U \)의 '모든 원소'에 대하여 성립한다는 의미는 \( U \)의 원소에 대하여 진리값을 조사해봤을 때, 1에 대하여도, 2에 대하여도, 3에 대하여도, 4에 대하여도, 5에 대하여도 모두 참이라는 의미이다. 이를 부정하는 것은 1, 2, 3, 4, 5 중 하나라도 참이 아닌 것, 즉 거짓인 것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이는 '어떤 원소'에 대하여 성립하지 않는다는 의미가 되므로 '모든'의 부정은 '어떤'이 된다.
수학은 최고의 결정권자이다. 일단 확정되면 더 이상의 항소는 없다.
-토비아스 단치히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의 성질(3) (0) | 2021.06.07 |
---|---|
대수(10) (0) | 2021.06.06 |
집합과 명제(19) (0) | 2021.06.03 |
집합과 명제(18) (0) | 2021.06.02 |
집합과 명제(17) (0) | 2021.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