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는 수식이 사용되었습니다. 모바일에서는 수식이 깨져 보이지 않을 수 있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만일 수식이 깨져 보일 경우 데스크톱 모드를 사용하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미분계수가 존재한다는 말은 미분가능하다는 말과 같다. 다음 식을 보자.
$$ f^{\prime}(a) = \lim_{h \to 0}{ { {f(a + h) - f(a)} \over {h} } } $$
이전 글에서 다루었듯이 미분계수는 위와 같이 정의된다. 이 정의에 의해 미분계수가 존재하는 함수는 다음의 성질을 만족한다.
함수 f(x)가 x=a에서 미분가능할 때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다.
증명
$$ \text{함수 } f(x) \text{가 } x=a \text{에서 미분가능할 때 } f^{\prime}(a) = L \text{라고 하면} $$
$$ L = \lim_{x \to a}{ { {f(x)-f(a)} \over {x-a} } } $$
$$ \text{이때 극한값이 } L \text{로 존재하고} (\text{분모}) \to 0 \text{이므로 } (\text{분자}) \to 0 $$
$$ \text{즉 } \lim_{x \to a}{ \left( f(x)-f(a) \right) } = 0 $$
$$ \text{이때 } \lim_{x \to a}{ f(a) } = f(a) \text{이므로} $$
$$ \begin{matrix} \lim_{x \to a}{ f(x) } &=& \lim_{x \to a}{ f(x)-f(a)+f(a) } \\ &=& \lim_{x \to a}{ f(x)-f(a) } + \lim_{x \to a}{ f(a) } \\ &=& 0 +f(a) = f(a) \end{matrix} $$
$$ \therefore \lim_{x \to a}{ f(x) } = f(a) \text{이므로} $$
$$ \text{함수 } f(x) \text{가 } x=a \text{에서 미분가능할 때 함수 } f(x) \text{는 } x=a \text{에서 연속이다.} $$
이때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예시
$$ f(x)=3x^{3}-4x-1 $$
$$ g(x)=\left| x \right| $$
$$ \lim_{x \to 0}{ f(x) } = f(0) = -1 $$
$$ \lim_{x \to 0}{ g(x) } = g(0) = 0 $$
$$ \lim_{x \to 0}{ { {f(x)-f(0)} \over {x} } } = -4 $$
$$ \lim_{x \to 0+}{ { {g(x)-g(0)} \over {x} } } = 1 \text{, } \lim_{x \to 0-}{ { {g(x)-g(0)} \over {x} } } = -1 $$
위에서 볼 수 있듯이 두 함수 f(x), g(x)는 x=0에서 연속이다. 또한 함수 f(x)는 x=0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한다. 그러나 함수 g(x)는 우미분계수와 좌미분계수 1의 값이 다르므로 x=0에서 미분계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미분계수가 존재하는 구간에서 함수는 연속이지만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가 연속이라고 반드시 미분가능한 것은 아니다. 2
다음 글에서는 도함수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수학은 모든 종류의 추상적 개념을 다루는데 적합한 도구이다. 이 분야에서의 수학의 위력에는 한계가 없다.
-폴 디랙
'수학 > 고등학생을 위한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과 적분(13) (0) | 2020.11.17 |
---|---|
미분과 적분(12) (0) | 2020.11.15 |
미분과 적분(10) (0) | 2020.11.12 |
미분과 적분(9) (0) | 2020.11.10 |
미분과 적분(8) (0) | 2020.11.08 |